개발 외 IT 지식/네트워크

도메인과 네임서버

규율 위에 자유 2023. 5. 24. 22:56

ip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릿, 서버 등등)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ip라고 한다.  예) 115.68.24.88, 192.168.0.1

도메인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는데,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도메인은 보통 도메인구매업체 (후이즈,가비아,카페24등) 에서 구매가능하다.
도메인 판매업체에서는 보통 네임서버도 같이 관리 한다.

서브도메인


예1)

도메인-naver.com 이라는 도메인을 보유(구매된 상태)되어 있다면
서브도메인-네이버 블로그 - blog.naver.com
서브도메인-네이버 메일 - mail.naver.com
서브도메인-네이버 금융 - finance.naver.com

 blog/mail/finance 로 도메인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

예2)

그룹웨어 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했을때 
대표 홈페이지를 naver.com로 쓰고있으니 
portal.naver.com / gw.naver.com 으로 설정 한다.

 

=================================================================

네임서버 

네임서버(DNS: Domain Name Server)는 대표적으로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할 때 도메인 등록 시 지정된 네임서버를 통해 해당 도메인과 연결된
IP 주소를 확인하여 연결하게 되며
도메인 등록시에 네임서버를 지정하고,
해당 네임서버에 연결 설정을 해야 정상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대표적인 네임서버에 등록하는 값 (레코드)
A레코드-가장 많이 쓰이는 레코드이다. 호스트에 대한 IPv4의 값을 가진다. 도메인 이름을 DNS 요청하면, IPv4 값을 준다. 

 

메일 수발신
MX레코드-메일서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Priority> <Target> 값을 가진다. Priority 값은 메일 서버가 여러개일 때, 우선순위를 지정한다. 

ex) 10 mail.abcd.com.


TXT(spf)레코드
발송한 메일서버의 IP와 DNS에 설정되어있는 TXT의 IP값이 다를 경우, 수신측에서 메일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특정 IP 외에 다른 IP에서 오는 메일을 차단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ex) "v=spf1 ip4:192.168.0.1/16-all"

 

 

 

실제 사례